-
보이스피싱 완벽 예방 및 대처법일상 지식꾸러미 2025. 2. 16. 22:17반응형
보이스피싱 완벽 예방 및 대처법
보이스피싱 예방법 1. 보이스피싱 범죄란 ?
전화 문자 등을 이용해 공공기관이나 금용기관 등을 사청하여 개인정보나
금용거래정보를 불법적으로 알아내어 금전적 손실을 발생시키는 범죄입니다.
2. ㅇㅇ 이런 전화 무조건 피싱사기 입니다.
ㅇ 수사기관 사칭
서울중앙지검 ㅇㅇ 검사입니다.
본인 명의로 개설된 통장이 범죄에 사용되어 조사차 연락드렸습니다.
ㅇ 금융기관 사칭
ㅇㅇ 저축은행 상담원 김ㅇㅇ입니다. 고객님에게 저금리 대출을 해드립니다.
대출금 상환을 위해 계좌이체를 하거나 현금을 저희 직원에게 전달해주셔야 합니다.
3. 이런 문자 무조건 피싱사기 입니다.
카드발급 사칭
[국제발신] [00카드]
고객님의 카드가 신규 발급되었습니다. 본인 아닐 시 신고바랍니다.
신고센터 070-1600-1234
명절 선물 사칭
[국제발신] [ㅇㅇ 은행]
추석이 다가왔습니다. 다음링크를 클릭해서 선물을 받아가세요, http://abank..
상품 결재 사칭
[국제발신] [해외승인]
XYZ몰 676,320원 결제완료, 본인 아닐 시, 상담센터 070-1234-5678
택배 사칭
IWEB발신] [AA택배]
택배가 도착하였으나 부재중으로 위탁 장소에 보관, 문의전화 070-1600-0000
법원 사칭
[국제발신] [00지방법원]
사건번호 2024-12345 관련 법원 출석서가 발부되었습니다. 내용확인 http://court.abc..
범칙금 사칭
[국제발신] [00구청]
주차위반 법칙금 고지서가 발부되었습니다. 고지서 확인 http://go .kr
4. 이런 메신저(카톡) 무조건 피싱사기 입니다 !
ㅇ 자녀 사칭(급한 사정을 말하며 송금 요구)
A : 엄마 바빠?
B : 아니, 카톡 프로필 없네?
A : 응. 지금 폰 고장나서 수리 말기고 컴퓨터로 카톡 하는거야. 나 하나만 부탁해도 돼?
B : 왜? 뭔데??
A : 저번주에 친구한테 돈을 빌렸는데 지금 빨리 갚으라고 하네.
B : 그래. 계좌번호 불러 줄래?
ㅇ 상품권 피싱(문화상품권:기프트카드 등 코드 요구
A : 야빠, 나 지금 급하게 문화 상품권이 필요한데 근처 편의점 가서
문화상품권 사서 상품권 코드 보내 줄 수 있어?
B : 그게 왜 필요한데?
A : 물건 사려고 하는데 문화 상품권으로 결제하면 저렴하데 상품권 밑에 긁어서 보내주면 돼
B : 그래 알겠어. 잠깐만~ 기다려
ㅇ 로맨스 스캠(현금 :가상화페 등 송금 유도)
A : 제가 어제 이야기한 거 기억나요?
B : 혹시 지금 시간되시면 00코인 고객센터로 전화해서 제 코인 지갑으로 우선 140코인 보내주세요.
A : 그래야 제가 한국으로 가서 만날 수 있어요.
B : 알겠어요. 코인 지갑 주소 보내주세요
ㅇ 몸캠피싱(음란 행위 및 애플리케이션 설치 요구)
A : 혼자 있어요?
B : 네혼자에요,
A : 영상통화 해요. 영상통화 실패 자꾸 끊기네요. 다른 어플 설치해서 영상통화 해요.
영상통화 어플.apk LN /URG드가h 2.1230
B : 네 알겠어요. 다운받았어요. 뭐 누르면 되는거에요?
- 악성 애플리케이션은 피해자 휴대폰의 전화 가로채기 개인정보 탈취 등
모든기능을 원격으로 조작할 수 있습니다.
5. 예방수칙 4가지만 기억 !
1. 출처 불명 인터넷 주소 클릭 금지
2. 송금 상대방은 반드시 확인
3. 모르는 전화를 받은 후 계좌이체 현금 인출.전달 무조건 금지
4. 스마트폰에 신분증 사진.계좌번호 비밀번호 등 저장하지 않기
6. 보안 관리는 필수
ㅇ 보안 위험 자동 차단 설정(안드로이드)
- 출처를 알 수 없는 애플리케이션 설치 방지
- 필요시 서비스센터-대리점 등에 방문해서 핸드폰 초기화 진행
ㅇ 보안 애플리케이션 설치 !
- V3 Mobile
- 알약M
- 싹다잡아
- 경찰청 시티즌 코난.
7. 예방 서비스 가입 권장 !
ㅇ 여신거래 안심차단
신용대출.신용카드 발급 등 개인의 신규 여신 거래를 사전에 차단하는 서비스
ㅇ 지연이체
계좌 이체 시 수취인 계좌에 일정 시간 경과 이후 입금되도록 하는 서비스
최소 3시간 이상 선택 가능 / 창구거래는 미적용
ㅇ 입금계좌 지정
본인이 사전에 지정한 계좌 이외의 계좌는 소액 송금만 가능한 서비스
1일 1백만원 이내 이체한도 선정 / 창구거래는 미적용
ㅇ 해외 IP차단
국내 IP대역이 아닌 곳에서 접속한 경우 이체 거래를 할 수 없도록 사전에 차단하는 서비스
8. 보이스피싱 피해 시 대응 방법
ㅇ 즉시 '지급정지' 신청
범죄자에게 계좌이체를 했거나 개인, 금융정보를 알려준 경우
경찰청(112) 또는 금융감독원(1332)로 은행 콜센터로 전화하여 즉시 계좌 지급정지 신청
이후 경찰에 신고 및 피해사실 확인서(사건사고 사실확인원)
신분증 구제신청서를 3영업일 이내 은행에 제출해야 지급정지 유지
ㅇ 경찰에 신고 등 조치
112신고
112상황실에서 접수 후, 전기통신금융사기 통합 신고센터로 이관
대응방안 안내 구제 지원
경찰청(112), 금융감독원(1332), 한국인터넷진흥원(1544-5118) 합동 처리
ㅇ 온라인(PC)신고
경찰청 '사이버범죄신고시스템' 내 신고하기(ecrm.police.go.kr)
범죄유형 선택 - 본인인증 - 신고내용(진술서 작성)
신속한 처리가 필요한 경우 직접 경찰서로 방문하여 신고
ㅇ 방문신고
진정서.신분증.증거자료(이체확인서. 메신저 대화내용 등)를 지참하여 인근 경찰관서 방문
9. 명의도용 피해 예방 추가 조치
ㅇ 명의 도용 확인
통신사 지점 방문, 엠세이퍼(msafer.or.kr)를 통해 본인 명의로 개통된 이동전화 무선인터넷 등 확인
ㅇ 휴대전화 신규 가입 등 차단
통신사 지점 방문, 엠세이퍼(msafer.or.kr), 애플리케이션 (PASS)를 통한 신규가입.번호이동 등 차단
ㅇ 신분증 재발급
(주민등록증) 정부 24 홈페이지(gov.kr) 또는 주민센터 방문
6개월 이내 촬영한 증명사진 및 기존 주민등록증 지참
(운전면허증) 도로교통공단 홈페이지-면허시험장.경찰서 방문
ㅇ 인증서 재발급
은행 홈페이지 또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재발급
ㅇ 개인정보 도용 유출여부 확인
개인정보포털(privacy.go.k)에서 명의도용 의심 사이트 탈퇴
털린 내 정보 찾기 서비스(kidc.eprivacy.go.k)에서 유출 확인
ㅇ 명의도용 계좌.카드 조회
계좌정보통합관리서비스(payinfo.or.k)에서 계좌.대출 조회
개인정보노출자 사고예방시스템(pd.fss.or.kr)에 정보 노출 등록
10. 피싱범죄 관련 주요 Q&A
Q : 피싱범죄를 당했을 때는 가장 먼저 무엇을 해야 하나요?
A : 즉시 지급정지를 신청하고, 경찰에 신고(112 또는 방문)해야 합니다.
Q : 피싱 링크를 클릭했을 때 가장 먼저 무엇을 해야하나요?
A : 휴대폰을 비행기모드로 변경하고
보안 프로그램(V3M, 시티즌코난 등)을 통해 악성 앱을 삭제해야 합니다.
반드시 문자, 카톡 내용 등을 삭제하지 말고 캡쳐 저장 등 증거 확보를 해야 합니다.
Q : 금융:공공기관에서 전화:문자등으로 개인정보를 요구하면 응답해도 되나요?
A : 절대로 전화.문자 등으로 금융정보나 개인정보를 요구하지 않습니다.
기관 대표번호로 전화해서 상대방 등을 직접 확인하거나 112로 신고해 주세요.
Q : 피싱범죄는 주로 어떤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나요?
A : 연령과 관계없이 누구나 범죄의 표적이 될 수 있으며 최근에는 의사.연구원 등의
고학력자나 검사.은행원 등 직업적 관련성이 있는 피해자도 발생하고 있습니다.
Q : 내 계좌로 작은 금액이 입금 된 후 전화가 왔어요. 왜 그럴까요?
A : 이는 '시험송금'이라는 수법으로 여러분의 계좌가 유효한지 확인하고
이를 피싱계좌로 이용하고자 전화를 걸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. (예시 : 착오송금 반환요구)
Q : 피싱 사이트를 어떻게 구분할 수 있나요?
A : 인터넷 주소에 오타가 있거나 `"https://가 아닌 `http://'로 시작하는 경우 의심해봐야 하며,
주소창에 보안 인증 마크가 없는 사이트도 주의가 필요합니다.
* #https : 모든 데이터를 암호화 된 형태로 전송 htp : 일반 텍스트 형태로 전송
11. 피해 구제 절차
ㅇ 피해금 환급은 지급정지 이후 금융감독원에서 진행
1. 지급정지 신청(피해자) - 금융기관, 112에 신고하여
보이스피싱전담 콜센터(24시간 운영) 연결해서 계좌 지급정지 조치
2. 지급정지(금융기관) - 피해신고 확인서 발급
3. 채권 소멸공고(금융감독원) - 명의인이 이의제기 가능
4. 공고 후 2개월(금융감독원) - 14일 이내 환급액 결정
5. 피해금 환급(금융기관) - 피해자 통지, 피해금 지급
ㅇ 대면편취형 범죄는 입금계좌 특정 시 지급정지 및 피해금 환급